릴리 마를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리 마를렌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병사가 쓴 시를 바탕으로 1939년 랄레 안데르센이 처음 녹음한 노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방송을 통해 널리 퍼지면서 독일군과 연합군 모두에게 인기를 얻었고, 이후 여러 언어로 번안되어 불렸다. 이 노래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했으며, 마를레네 디트리히가 부른 버전으로도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일본어 번안곡을 통해 알려졌으며, 다양한 한국어 번안과 커버가 이루어졌다.
릴리 마를렌의 가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함부르크 출신의 교사이자 독일 제국군 병사였던 한스 라이프(1893–1983)가 쓴 시에서 비롯되었다. 라이프는 친구의 여자친구 이름인 '릴리'와 간호사였던 다른 친구 '마를렌'의 이름을 합쳐 제목을 지었다고 한다.[2][3] 이 시는 1937년 "초병에 선 젊은 병사의 노래"(Das Lied eines jungen Soldaten auf der Wachtde)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1941년 베오그라드 점령 이후, 베오그라드 라디오는 독일군 방송국 ''Soldatensender Belgrad'' (병사 라디오 베오그라드)로 이름이 바뀌어 유럽과 지중해 전역으로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
2. 탄생 배경
작곡가 노르베르트 슐체가 1938년에 이 시에 곡을 붙였고, 1939년 가수 랄레 안데르센이 처음으로 녹음하여 발표했다. 이후 이 노래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5]
2. 1. 가사
가사는 1915년 함부르크 출신의 교사이자 독일 제국군에 징집되었던 한스 라이프(1893–1983)가 3절의 시로 처음 썼다. 라이프는 자신의 친구 여자친구의 별명인 '릴리'와, 간호사였던 또 다른 친구 '마를렌'의 이름을 합쳐 제목을 지었다고 전해진다.[2][3] 이 시는 1937년에 "초병에 선 젊은 병사의 노래"(Das Lied eines jungen Soldaten auf der Wachtde)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는데, 이때 기존 3절에 2개의 절이 더 추가되었다.
이 시에 곡을 붙인 것은 작곡가 노르베르트 슐체로, 1938년에 작곡했다. 노래는 1939년 가수 랄레 안데르센이 처음으로 녹음했다. 1942년 초, 안데르센은 독일 선전을 위해 일하던 전 영국군 장교 노먼 베일리-스튜어트가 번역한 영어 가사로도 이 노래를 녹음했다.[4]
작사가 토미 코너 역시 1944년에 "램프 불빛 아래 릴리"(Lily of the Lamplight영어)라는 제목으로 영어 가사를 썼다. 또 다른 영어 번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계 영국인 작가 테오도르 스테파니데스가 했으며, 이 번역은 그의 1946년 회고록 ''크레타의 절정''(Climax in Crete영어)에 실렸다.[5]
가사의 내용은 전장에 나간 병사가 고향에 두고 온 연인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 독일어 가사
: Vor der Kaserne vor dem großen Tor
: Stand eine Laterne
: Und steht sie noch davor
: So wollen wir da uns wiedersehn
: Bei der Laterne wollen wir stehen
: Wie einst Lili Marleen Wie einst Lili Marleen
: Unsre beiden Schatten sahen wie einer aus;
: Dass wir so lieb uns hatten
: Das sah man gleich daraus
: Und alle Leute sollen es sehen
: Wenn wir bei der Laterne stehen
: Wie einst Lili Marleen Wie einst Lili Marleen
: Schon rief der Posten: Sie bliesen Zapfenstreich;
: Es kann drei Tage kosten
: Kam'rad, ich komm ja gleich
: Da sagten wir auf Wiedersehn
: Wie gerne würd' ich mit dir gehn
: Mit dir Lili Marleen Mit dir Lili Marleen
: Deine Schritte kennt sie
: Deinen schönen Gang
: Aller Abend brennt sie Doch mich vergaß sie lang
: Und sollte mir eine Leids geschehn
: Wer wird bei der Laterne stehn
: Mit dir Lili Marleen? Mit dir Lili Marleen?
: Aus dem stillen Raume
: Aus der Erde Grund
: Hebt mich wie im Traume dein verliebter Mund
: Wenn sich die späten Nebel drehen
: Werd' ich bei der Laterne stehen
: Wie einst Lili Marleen Wie einst Lili Marleen
; 한국어 번역 (의미 전달 위주)
: 병영 앞, 큰 문 앞에
: 가로등 하나 서 있었지
: 지금도 거기 서 있다면
: 우리 거기서 다시 만나자
: 가로등 곁에 우리 서 있자
: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 우리 둘 그림자 하나처럼 보였지
: 우리가 얼마나 서로 사랑했는지
: 그걸 보면 바로 알 수 있었지
: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 우리 가로등 곁에 서 있을 때
: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 벌써 초병이 외쳤지: "소등 나팔 불 시간이다!"
: "(늦으면) 영창 3일 감이다!"
: "전우여, 나 금방 가겠네."
: 그때 우리는 작별 인사를 했지
: 얼마나 너와 함께 가고 싶었는지
: 너와 함께, 릴리 마를렌. 너와 함께, 릴리 마를렌.
: 그 가로등은 네 발걸음을 알지
: 너의 아름다운 걸음걸이를
: 매일 저녁 불타오르지, 하지만 나를 오랫동안 잊었네
: 만약 내게 슬픈 일이 생긴다면
: 누가 그 가로등 곁에 서 있을까
: 너와 함께, 릴리 마를렌? 너와 함께, 릴리 마를렌?
: 고요한 공간 속에서
: 땅 속 깊은 곳에서
: 꿈결처럼 나를 들어 올리네, 사랑에 빠진 네 입술이
: 늦은 안개가 휘감을 때면
: 나는 가로등 곁에 서 있으리
: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예전처럼, 릴리 마를렌.
3. 제2차 세계 대전과 확산
방송국에서는 부족한 음반 자료 때문에 빈에서 가져온 레코드 중 라레 안데르센이 부른 "릴리 마를렌"을 자주 방송했다.[6][7] 다른 설에 따르면, 1939년 발매 당시 거의 팔리지 않았던 이 음반이 우연히 독일군 위문용 레코드에 포함되어 1941년 가을 처음 방송되었거나,[55] 방송국 직원이 개인적인 이유로 틀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떤 경위로 방송되었든 "릴리 마를렌"은 곧 독일군 병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매일 밤 특정 시간에 방송되는 이 노래를 들으며 많은 병사들이 고향을 그리워했다고 전해진다. 노래의 인기는 적군인 연합군 병사들에게까지 퍼져나갔다. 북아프리카 전선의 영국군 사령부가 청취 금지령을 내릴 정도였으나, 이는 오히려 노래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많은 연합군 병사들도 이 노래를 들으며 전쟁의 고단함 속에서 감상에 젖곤 했다. 영국의 세인트 피츠로이 매클린 경은 회고록에서 이 노래가 서부 사막 작전 중 병사들에게 미친 감성적인 영향을 기록하기도 했다.
전쟁 막바지, 붉은 군대가 베오그라드로 진격하면서 라디오 베오그라드의 "릴리 마를렌" 방송은 중단되었다.[10] 한편, 이탈리아 전선의 연합군 병사들은 곡조에 자신들의 가사를 붙여 "D-Day Dodgers"라는 노래를 만들기도 했으며, 미군 신문 ''Stars and Stripes''에는 이 노래와 관련된 빌 모들린의 만평이 실리기도 했다.
가수 라레 안데르센은 이 노래로 골드 디스크를 수상할 만큼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9] 1942년 나치 당국에 의해 활동이 금지되고 그녀의 원반은 폐기되었다. 요제프 괴벨스 선전상은 노래 자체는 남기되 다른 가수가 부른 버전을 제작하도록 지시했다.
한편,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영어 번역 가사와 함께 "릴리 마를렌: 제8군과 제6기갑사단의 주제가"라는 제목의 전쟁 팸플릿이 출판되기도 했다.[8]
3. 1. 독일군과 연합군 사이의 인기
1941년 베오그라드 점령 이후, 베오그라드 라디오는 독일군 방송국인 ''Soldatensender Belgrad'' (병사 라디오 베오그라드)로 개편되어 유럽과 지중해 전역으로 송출되었다. 빈에서 휴가 중이던 한 독일군 중위는 제국 라디오 방송국에서 낡은 레코드판을 수집해 오라는 지시를 받았는데,[6] 그중에 라레 안데르센이 부른 "릴리 마를렌" 음반이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이 음반은 약 700장 정도만 팔린 상태였다. 방송국 책임자였던 카를하인츠 라인트겐은 이 노래를 방송하기 시작했다.[7] 다른 방송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에 라디오 베오그라드는 이 노래를 자주 틀었다.
이 노래가 방송된 다른 배경에 대한 설도 있다. 1939년 발매 당시 안데르센의 레코드는 60장밖에 팔리지 않았지만, 팔리지 않고 쌓여 있던 레코드 중에서 점원이 독일군 전선 위문용 레코드 200장 속에 2장을 섞어 넣었고, 이것이 1941년 가을 처음 방송된 후 반복적으로 나오면서 인기를 얻었다는 것이다.[55] 혹은 베오그라드 방송국 직원이 릴리 마를렌을 좋아했던 친구를 위해 방송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어떤 계기로 방송되었든, "릴리 마를렌"은 곧 독일군 병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매일 밤 21시 57분(밤 10시 직전)에 방송되는 이 노래를 들으며 많은 독일 병사들이 전장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진다.
"릴리 마를렌"의 인기는 독일군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적군이었던 연합군 병사들 사이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북아프리카 전선의 영국군 사령부는 병사들이 적국의 방송을 듣는 것을 금지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노래의 인기를 더욱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많은 연합군 병사들은 하루 일과를 마치고 라디오 베오그라드에서 흘러나오는 이 노래를 듣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영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이었던 세인트 피츠로이 매클린 경은 그의 회고록 ''Eastern Approaches''에서 서부 사막 작전 중이던 1942년 초, 이 노래가 병사들에게 미친 영향을 기록했다. 그는 라레 안데르센의 "허스키하고, 관능적이며,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달콤한" 목소리와 "매력적인 멜로디와 애처로운 감상적인 가사"가 멀리 떨어진 유럽 대륙에 대한 그리움을 자극했다고 묘사했다.
이듬해 유고슬라비아에서 활동하던 매클린은 밤에 잠들기 전 동료들과 라디오 베오그라드를 통해 "릴리 마를렌"을 듣곤 했다고 적었다. 그는 사막에서 들었던 것과 변함없이 "가슴 아픈 달콤함"이 느껴졌으며, 노래가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베오그라드를 상징하는 것처럼 여겨졌다고 회상했다. 1944년 말, 베오그라드 공세로 베오그라드의 해방이 임박했을 때도 그들은 밤 10시에 어김없이 흘러나오는 "릴리 마를렌"을 들으며 "이제 얼마 안 남았어."라고 이야기했다. 붉은 군대가 베오그라드로 진격하면서 라디오 베오그라드의 방송은 중단되었고, 매클린은 정해진 시간에 노래가 더 이상 들리지 않자 "'가버렸네,'라고 우리는 말했다."고 기록했다.[10]
이탈리아 전선의 연합군 병사들은 이 노래의 곡조에 자신들의 상황을 담은 가사를 붙여 "D-Day Dodgers"라는 노래를 만들어 부르기도 했다. 미군 신문 ''Stars and Stripes''에 실린 빌 모들린의 만화는 참호 속에서 한 병사가 하모니카를 불고 다른 병사가 "얘, 오늘 밤 '릴리 마를렌'에 대해서 독일군들이 제대로 따라오지 못하네. 테너에 무슨 일이라도 생긴 건가?"라고 말하는 장면을 묘사하며, 양측 병사들이 공유했던 이 노래의 독특한 위치를 보여준다.
라레 안데르센은 이 노래의 성공으로 100만 장 이상 판매를 기록하며 골드 디스크를 수상했다.[9] 그녀는 종전 후에 이 상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HMV의 복사본은 1960년대 옥스퍼드 스트리트 매장 개조 공사 중에 폐기되었지만, 디스크는 회수되어 현재 개인 소장품으로 보관되어 있다. 그러나 그녀의 인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1942년 여름, 안데르센이 유대인인 롤프 리버만과 친밀한 관계였다는 사실이 나치 당국에 알려지면서 가수 활동이 금지되었고, 그녀가 부른 "릴리 마를렌" 원반은 폐기되었다. 요제프 괴벨스 선전상의 지시에 따라 노래 제목과 멜로디는 유지되었지만, 다른 가수가 부른 버전이 제작되었다.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익명의 영어 번역 가사와 함께 "릴리 마를렌: 제8군과 제6기갑사단의 주제가"라는 제목의 전쟁 팸플릿이 출판되기도 했다.[8]
3. 2. 다양한 번안과 해석
1939년에 처음 발매되었을 때, 랄레 안데르센의 레코드는 60장밖에 팔리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팔리지 않고 쌓여 있던 레코드 중 2장이 점원에 의해 독일군 전선 위문용 레코드에 포함되었고, 이것이 1941년 가을 처음 방송된 후 반복적으로 전파를 타면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55] 다른 이야기로는, 베오그라드 방송국의 직원이 이 노래를 좋아했던 친구를 위해 처음 틀었다는 설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매일 밤 21시 57분에 베오그라드의 독일군 방송국에서 이 노래가 흘러나왔다. 많은 독일 병사들은 전장에서 이 노래를 들으며 고향을 그리워했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노래는 독일 병사뿐 아니라 연합군 병사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었는데, 특히 북아프리카 전선의 영국군 사이에서 유행하자 영국군 사령부는 해당 방송 청취를 금지하기도 했다.
안데르센은 위문 공연 등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이는 오래가지 못했다. 1942년 여름, 안데르센과 가까웠던 롤프 리버만이 유대인이라는 사실이 나치 당국에 알려지면서 안데르센은 가수 활동이 금지되었고, 그녀가 부른 원반 레코드도 폐기되는 조치를 당했다. 나치 선전상이었던 요제프 괴벨스는 "릴리 마를렌"이라는 제목과 멜로디는 그대로 두되, 다른 가수가 부른 새로운 버전을 제작하도록 지시했다.
3. 3. 마를레네 디트리히 버전
베를린 출신의 배우이자 가수인 마를레네 디트리히에게도 '릴리 마를렌'은 대표곡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스 정권 하의 독일을 떠나 미국 시민권을 얻었던 디트리히는 연합군 병사들을 위한 위문 공연에서 적극적으로 이 노래를 불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전후 독일에서는 그녀를 반역자로 보는 시각이 생겨 한동안 인기가 없었다.
1944년, 미국 전략사무국 (OSS)의 사기 작전부(Morale Operations Branch)는 적군 병사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기 위한 음악 선전 방송인 뮤작(Muzak)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2] 디트리히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독일어로 여러 곡을 녹음했는데, '릴리 마를렌'도 그중 하나였다. 그녀는 자신의 녹음이 OSS 선전 활동에 사용될 것을 인지하고 있던 유일한 참여자였다.[13] 또한 디트리히는 전쟁 중 유럽 전선에서 종종 임시로 마련된 무대 위에서 연합군 병사들을 위해 직접 '릴리 마를렌'을 포함한 여러 노래를 불렀다. '릴리 마를렌'은 OSS가 운영한 독일어 라디오 방송국 ''Soldatensender''의 주제가가 되기도 했다.[12]
유럽 주둔 군대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자, 디트리히는 'Lili Marlene'이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다시 녹음하여 1945년 데카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이 음반에는 아코디언 연주자 찰스 매그난테가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참여했으며, B면에는 프랑스어로 부른 'Symphonie'가 수록되었다.[17] 하지만 OSS 선전용으로 녹음했던 원본 '릴리 마를렌'은 공개되지 않았다.
1961년 개봉한 영화 ''뉘른베르크의 재판''에는 디트리히가 출연하여 '릴리 마를렌'과 관련된 장면을 연기했다. 극중 그녀는 스펜서 트레이시가 연기한 인물과 함께 연합군의 폭격으로 폐허가 된 거리를 걷다가 술집에서 흘러나오는 독일어 '릴리 마를렌' 노래를 듣게 된다. 디트리히는 노래를 따라 부르며 트레이시에게 가사를 일부 번역해주고, 독일어 가사가 영어 가사보다 "훨씬 더 슬프다"고 말한다.[14]
디트리히는 1953년부터 1975년까지 전 세계를 순회하며 진행한 라이브 카바레 쇼에서도 '릴리 마를렌'을 주요 레퍼토리로 삼았다. 보통 '다시 사랑에 빠지다' 다음에 불렀으며, 1960년대 유럽 콘서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소개 멘트를 덧붙이곤 했다.
> 자, 이것은 제 마음속에 아주 가까운 노래입니다. 저는 전쟁 중에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저는 3년 동안 아프리카, 시칠리아, 이탈리아, 알래스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영국, 프랑스, 벨기에를 거쳐 ... [긴 침묵] ... 독일, 체코슬로바키아까지 불렀습니다. 병사들이 이 노래를 좋아했어요, ''릴리 마를렌''.[15]
1973년 BBC(영국)와 CBS(미국)에서 방영된 그녀의 TV 스페셜 ''마를레네 디트리히와의 저녁''에서도 '릴리 마를렌'을 불렀으며, 그녀의 6개의 정규 앨범 중 4개에 이 곡이 수록되었다. 디트리히는 원곡인 독일어 버전과 영어 번안 버전 모두를 녹음하고 공연했으며, 두 버전은 전 세계적으로 발매된 많은 컴필레이션 앨범에 포함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는 '릴리 마를렌' 싱글 2종이 발매되었다. MCA 레코드 발매반(D-1284)은 오리콘 차트 93위에 올라 3주간 머물며 약 8,000장이 판매되었고, B면에는 'Falling in Love Again'이 수록되었다.[16] EMI 발매반(EMR-10761)은 오리콘 차트 42위에 올라 11주간 머물며 약 56,000장이 판매되었고, B면에는 'Die Antwort Weiss Ganz Allein Der Wind'(불어오는 바람)이 수록되었다.[16]
3. 4. 영화와 텔레비전
험프리 제닝스는 1944년에 이 노래에 관한 29분짜리 영화 ''릴리 마를렌의 진실''을 감독했다.[49]
이 노래는 리사 대니얼리가 출연한 1950년 영화 ''릴리 마를렌''에서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이 영화는 노래의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진 여성(대니얼리가 연기)의 이야기를 허구적으로 그려낸다.
1961년 영화 ''뉘른베르크의 재판''에서는 독일의 한 술집에서 이 노래가 불리는 장면이 나온다. 마를레네 디트리히(이 노래를 여러 번 녹음했다)와 스펜서 트레이시가 출연하는 장면에서, 디트리히가 연기한 캐릭터는 트레이시에게 독일어 가사가 영어 번역보다 훨씬 더 슬프다고 설명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부 사막 전선에서 연합군과 추축군 병사들 사이에서 이 노래가 누렸던 인기는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방영된 영국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세계대전'' (내레이션: 로렌스 올리비에)의 에피소드 8 "사막: 북아프리카 1940–1943"에서 묘사되었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랄레 안데르센과 그녀의 노래 버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 ''릴리 마를렌''을 1981년에 감독했다.[50] 이 영화는 안데르센의 생애를 소재로 한 독일 영화이다.
이 노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을 배경으로 한 1983년 유고슬라비아 영화 ''발칸 익스프레스''의 한 장면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술집 가수(인기 민요 가수 토마 즈드라브코비치가 연기)는 독일 군인들에게 이 노래를 불러달라는 요구를 거부하다가 술집에서 쫓겨난다. 이후 장면에서 그는 얼굴에 피를 흘린 채 무대로 돌아와 노래를 부르는데, 이는 구타를 당해 노래를 부르도록 강요당했음을 암시한다.
알바로 브레흐너가 감독한 2009년 영화 ''고기잡이 하기 좋은 날''에서는 "릴리 마를렌"의 멜로디로만 달랠 수 있는 통제 불능의 거인(요우코 아홀라 분)이 등장한다.[53]
2023년 영화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의 프리퀄 장면에서는 저녁 식사를 하는 독일 군인들이 이 노래를 합창하는 모습이 나온다.[54]
3. 5. 다른 가수들의 커버 버전
미국의 가수 코니 프랜시스는 1961년 6월 3일 오스트리아 빈의 Austrophon Studio에서 "릴리 마를렌"을 녹음했다. 이 곡은 1962년 그녀의 일곱 번째 독일어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B면에는 1961년 10월 5일 같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Mond von Mexico"가 실렸다. 프랜시스는 이 곡을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로도 녹음했으며, 그녀의 버전은 독일 음악 차트에서 9위를 기록했다.[33]
프랑스 가수 아만다 리어는 1978년에 이 곡을 유로디스코 스타일로 커버했다. 이 버전은 싱글 "골드"의 B면[36] 및 독립 싱글로 발매되었고, 이후 그녀의 세 번째 정규 앨범 ''Never Trust a Pretty Face''에는 독일어-영어 혼합 버전이 수록되었다. 앨범의 프랑스어판에는 독일어-프랑스어 버전이 담겼다. 리어는 1978년 이탈리아 영화 ''Zio Adolfo in arte Führer''에서도 이 노래를 불렀다. 그녀는 이후 1993년 앨범 ''Cadavrexquis''와 2001년 앨범 ''Heart''를 위해 곡을 다시 녹음했는데, 특히 2001년 버전은 작곡가 노르베르트 슐체가 사망 직전에 쓴 새로운 가사를 사용했다.[37]
독일 출신의 배우이자 가수인 마를레네 디트리히의 버전도 매우 유명하다. 그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스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얻었고, 전쟁 중에는 연합군 병사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위문 공연을 하며 "릴리 마를렌"을 불렀다. 이러한 활동 때문에 디트리히는 독일 내 일부로부터 반역자로 취급받기도 했으며, 전후에도 독일 내에서는 오랫동안 평가가 엇갈렸다.
원곡 가사의 화자는 남성 병사이지만, 많은 여성 가수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4. 한국에서의 수용과 번안
4. 1. 일본어 번안의 영향
1974년 5월, 일본 잡지 문예춘추에 스즈키 아키라가 쓴 "릴리 마를렌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기사가 실렸다. 이듬해인 1975년에는 같은 제목의 단행본이 문예춘추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기사와 책이 계기가 되어 1975년 일본에서는 릴리 마를렌의 일본어 번안곡이 크게 유행했으며, 마를레네 디트리히가 부른 버전(도시바 EMI 발매반 EMR-10761)도 리바이벌 히트를 기록했다.[56] 같은 해 라레 안데르센이 부른 원곡의 싱글 음반(폴리도르 발매반 DP1985)도 재발매되었다.이러한 일본에서의 릴리 마를렌 열풍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에서 이 노래가 알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수많은 가수가 릴리 마를렌을 커버했으며, 여러 종류의 일본어 번안 가사가 존재한다. 그중 가타기리 가즈코가 번역한 가사가 원어에 가장 충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4. 2. 한국어 번안과 가수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릴리 마를렌'의 한국어 번안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일본에서의 번안과 리바이벌 히트, 그리고 관련 일본 가수들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 번안과 가수들'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작성할 수 없습니다.5. 현대적 재해석
프랑스 가수 아만다 리어는 1978년에 이 곡의 유로디스코 커버 버전을 녹음하여 싱글 "골드"의 B면[36]과 독립 싱글로 발매했다. 이 독일어-영어 버전은 이후 그녀의 세 번째 정규 앨범 ''Never Trust a Pretty Face''에 수록되었다. 이 앨범의 프랑스어 버전에는 독일어-프랑스어 버전의 트랙이 포함되었다.
리어는 1978년 이탈리아 영화 ''Zio Adolfo in arte Führer''에서 "릴리 마를렌"을 불렀다.
그 가수는 나중에 앨범 ''Cadavrexquis''(1993)와 ''Heart''(2001)를 위해 이 곡을 다시 녹음했는데, 후자의 버전은 노르베르트 슐체가 사망하기 직전에 쓴 가사를 업데이트했다.[37]
5. 1. 게임, 애니메이션 등
- 모리시게 히사야가 사회를, 무코다 쿠니코가 각본을 담당한 토크쇼 『모리시게의 중역 독본』(TBS 라디오→분카 방송, 1962년 - 1969년)의 테마곡으로 행진곡풍으로 편곡된 기악곡이 사용되었다.
- 1974년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테라우치 칸타로 일가』 제18화 마지막 장면에서는 등장인물 테라우치 슈헤이(사이조 히데키 분)와 소마 미요코(아사다 미요코 분)가 코타니 나츠 버전의 번역 가사로 듀엣을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해당 회차의 엔딩 장면에서는 테라우치 칸타로(코바야시 아세이 분)와 딸 시즈에(카지 메이코 분)가 연기하는 동안 원어 코러스 버전이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게임 소프트 『어드밴스드 대전략』의 메가 드라이브판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는데, 개발자에 따르면 게임에서의 사용에 대해 정부 측에서 제재를 가했다는 언급이 있다.[58]
- 2008년 일본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스트라이크 위치스』에서는 등장인물 미나 디트린데 빌케의 성우인 타나카 리에가 캐릭터 명의로 「릴리 마를렌 STRIKE WITCHES ver.」이라는 제목의 캐릭터송으로 불렀다.[57] 이때 번역 가사는 스즈키 타카아키가 담당했다.
참조
[1]
서적
Lili Marleen an allem Fronten: ein Lied geht um die Welt das Lied, seine Zeite, seine Interpreten, seine Botschaften
Bear family
2005
[2]
문서
Lili Marleen und Belgrad 1941. Der lange Weg zum Ruhm
1997
[3]
문서
Superfrauen 10 – Musik und Tanz
2008
[4]
문서
Lili Marleen, Ein Schlager macht Geschichte
2001
[5]
서적
Climax in Crete
Faber and Faber
1946
[6]
웹사이트
Istria on the Internet - Music - Nostalgia
http://www.istrianet[...]
Istrianet.org
2014-03-21
[7]
서적
Lili Marlene: the soldiers' song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2009
[8]
문서
[9]
웹사이트
Lale Andersen homepage : Gold disc 1939
http://www.laleander[...]
Laleandersen.com
2014-03-21
[10]
서적
Eastern Approaches
1949
[11]
웹사이트
Lili Marlene - Songview
https://www.ascap.co[...]
2023-11-10
[12]
웹사이트
A Look Back ... Marlene Dietrich: Singing for a Cause
https://www.cia.gov/[...]
2008-10-23
[13]
서적
Sisterhood of spies: the women of the OSS
Dell.
1998
[14]
웹사이트
a scene from "Judgment at Nuremberg" with Marlene Dietrich and Spencer Tracy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6-20
[15]
웹사이트
Marlene Dietrich Lili Marleen(ENGLISH)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7-13
[16]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17]
웹사이트
"Lili Marlene" original 10" releas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18]
웹사이트
"Lili Marlene" Brunswick first issue
http://www.popsike.c[...]
popsike.com
2014-06-20
[19]
웹사이트
"Lili Marlene" Decca Re-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20]
웹사이트
"Lili Marlene" MCA 78 Re-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21]
웹사이트
"Lili Marlene" MCA 80 Re-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22]
웹사이트
"Lili Marlene" Brunswick re-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23]
웹사이트
"Lili Marlene" MCA Records re-issues of Brunswick re-issue
http://www.volumeet.[...]
volumeet.com
2014-06-20
[24]
웹사이트
"Lili Marlene" Old Gold Records re-issues of Brunswick re-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25]
웹사이트
"Lili Marlene" Philips 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26]
웹사이트
"Lili Marlene" LP (US)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27]
웹사이트
"Lili Marlene" LP (EU)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28]
웹사이트
"Lili Marlene" LP (UK)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29]
웹사이트
"Lili Marlene" LP (SA)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30]
웹사이트
Du Hast Die Seele Mein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6-24
[31]
웹사이트
"Lili Marlene" Columbia 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0
[32]
웹사이트
"Lili Marlen" EMI issue
http://www.discogs.c[...]
Discogs
2014-06-24
[33]
문서
Connie Francis
[34]
웹사이트
Connie Francis - Lili Marleen
http://www.discogs.c[...]
[35]
웹사이트
Offizielle Deutsche Charts
https://www.offiziel[...]
offiziellecharts.de
2017-12-29
[36]
웹사이트
GOLD 1978 France
http://amandalear_si[...]
amandalear_singoli.tripod.com
[37]
웹사이트
Amanda Lear is back!
http://www.innastron[...]
2014-08-29
[38]
웹사이트
Amanda Lear - Lili Marleen / Pretty Boys at Discogs
https://www.discogs.[...]
discogs.com
2017-12-30
[39]
웹사이트
Amanda Lear - Lili Marlene / Soñador (Sur Pacifico) (Vinyl) at Discogs
https://www.discogs.[...]
discogs.com
2017-12-30
[40]
서적
M&D Borsa Singoli 1960–2019
Independently Published
2019
[41]
웹사이트
InfoDisc : Les Tubes de chaque Artiste commençant par L
http://infodisc.fr/T[...]
infodisc.fr
2017-12-30
[42]
웹사이트
Henri Lemarchand Discography at Discogs
http://www.discogs.c[...]
Discogs.com
2014-03-21
[43]
간행물
Pop Chronicles 40s
https://digital.libr[...]
[44]
웹사이트
A Bing Crosby Discography
http://www.bingmagaz[...]
International Club Crosby
2017-09-13
[45]
웹사이트
Ole Ole - Lili Marlen 1986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3-21
[46]
웹사이트
Atrocity - Gemini - Encyclopaedia Metallum
http://www.metal-arc[...]
The Metal Archives
2014-03-21
[47]
웹사이트
Русские тексты "Лили Марлен" (Иосиф Бродский, Наталия Краубнер, Сергей Шатров)
http://a-pesni.org/d[...]
[48]
Youtube
Llegada de cadetes a Escuela Militar - Parada Militar 2013 HD
https://www.youtube.[...]
[49]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Lilli Marlene (1944)
https://www.imdb.com[...]
IMDb.com
2014-03-21
[50]
웹사이트
Lili Marleen (1981)
https://www.imdb.com[...]
IMDb.com
2014-03-21
[51]
웹사이트
Vennaskond
http://www.atmospher[...]
Atmosphere Music
2009-12-08
[52]
웹사이트
Lili Marleen - The Swing Swindlers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3-21
[53]
웹사이트
Bad Day to Go Fishing (2009)
https://www.imdb.com[...]
IMDb.com
2014-03-21
[54]
웹사이트
Indiana Jones and the Dial of Destiny (song credit list)
https://www.soundtra[...]
Soundtrack.Net
2023-12-09
[55]
서적
毎日ムックシリーズ20世紀の記憶 第2次世界大戦・欧州戦線1939-1945
毎日新聞社発行
[56]
기타
僕たちの洋楽ヒット Vol.8 (1975〜76)
東芝EMI
[57]
서적
ストライクウィッチーズ オフィシャルファンブック コンプリートファイル
角川書店
2009-01-09
[58]
URL
https://www.radioni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